웹 프로그래밍 기초/함수

내장 함수

별초롱언니 2025. 4. 4. 14:38

자바스크립트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를 내장함수라고 한다. 내장함수는 이미 시스템에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로 정의하지 않고 주어진 원칙에 따라 사용하면 되는 함수이다. 우리가 그동안 사용한 대표적인 내장 함수에는 alert()가 있다. 

 

eval

주어진 문자열을 JavaScript 코드로 해석하고 실행한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let eval_string = "20 + 15";
    document.write("결과값 : " + eval(eval_string));
  </script>
</body>
</html>

parseInt(), parseFloat()

parseInt(n) 함수는 'n'이 숫자나 문자로 구성되어있을 때 숫자 부분만 지정한 진법으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즉, 입력된 문자열에 있는 숫자 부분만을 정수 또는 2진수, 8진수, 16진수 등으로 바꾸어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let num_str1 = "12";
    let num_str2 = "12.34";
    let num_str3 = "1234567";
    let num_str4 = "1.234e2";
    let num_str5 = "0x1234";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Int(num_str1)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Int(num_str1, 8)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Int(num_str2, 8)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Int(num_str3)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Int(num_str4)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Int(num_str5) + "<br>");
  </script>
</body>
</html>


parseFloat(String);

parseFloat() 또한 숫자형 문자열을 입력받아 부동 소수점으로 변환하여 그 값을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let num_str1 = "12";
    let num_str2 = "12.34";
    let num_str3 = "1.234e2";
    let num_str4 = "1.23abcd";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Float(num_str1)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Float(num_str2)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Float(num_str3)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parseFloat(num_str4) + "<br>");
  </script>
</body>
</html>

isFinite(), isNaN()

위 함수의 결과는 true 또는 false이다. 

isFinite()는 주어진 값이 유리수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함수이다. 값이 유리수일 경우 true, 아닐 경우 false를 그 결과 값으로 반환한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let str1 = "1234e5";
    let str2 = "123456";

    document.write("결과값 : " + isFinite(str1) + "<br>");
    document.write("결과값 : " + isFinite(str2) + "<br>");
  </script>
</body>
</html>


isNaN()은 주어진 값이 숫자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함수이다. 값이 숫자일 경우는 'false', 아닐 경우는 'true'를 그 결과 값으로 반환한다. 숫자값을 가진 문자열이 들어오면 우선적으로 숫자로 변환 후 판단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let str1 = "1234e5";

    document.write("결과값 : " + isNaN(str1) + "<br>");
  </script>
</body>
</html>


Number(), String()

Number() 함수는 문자열을 숫자로, String()함수는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한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let num1 = 12;
    let num2 = 34;
    let num1_str = "12";
    let num2_str = "34";

    document.write(String(num1) + String(num2) + "<br>");
    document.write(Number(num1_str) + Number(num2_str));
  </script>
</body>
</html>

'웹 프로그래밍 기초 > 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백함수  (0) 2025.04.04
함수의 호출  (0) 2025.04.04
함수 정의 방법  (0) 2025.04.04
가변 인자 함수  (0) 2025.04.04
매개변수  (0)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