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변수와 상수

변수란?

별초롱언니 2025. 4. 29. 14:11

변수는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를 담아둘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고 이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변할 수 있는 값, 즉 변수라고 부릅니다. 

 

1.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선언 : 만든다     /     초기화 : 처음값을 넣는다.

변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선언을 해야 합니다. 변수의 선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int a;           → 선언

int a = 1;     → 선언과 초기화

① int → 데이터타입 : 변수에 기억시킬 데이터의 형태를 의미

② a; → 변수명 : 기억장소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할 이름입니다.  

③ 1; → 초기값 : 변수를 선언한 후 기억시킬 값입니다. 

 

자바에서 변수의 이름을 명명할때는 몇가지 규칙이 있다.

·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 특수문자는 '$'과 '_'만 사용할 수 있다.

· 자바에서는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따라서 대소문자가 다른 변수는 별개의 변수다.

· 자바 예약어를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예약어란 프로그래밍 하는데 있어 미리 의미가 정해진 단어들이다.


2. 데이터 타입 (Data type)

데이터에는 정수, 실수, 문자, 논리(참 또는 거짓) 등이 있는데 각각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변수의 종류가 다르다.

그래서 데이터 타입으로 어떤 데이터를 담는 변수인지 표시한다. 

데이터 타입에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이 있다.

 

① 정수형 데이터 타입 : 정수형 데이터 타입은 정수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정수형 데이터 타입에는 크기별로 byte, short, int, long 네 가지가 있다.

자료형 바이트 비트
byte 1 8
short 2 16
int 4 32
long 8 64

② 실수형 데이터 타입 : 실수형 데이터 타입은 실수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며 float과 double이 있다.

자료형 바이트 비트
float 4 8
double 8 64

③ 문자형 데이터 타입 : 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문자를 담을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며 char가 있습니다. 

     char형은 변수 당 하나의 문자를 저장합니다. 

** 1byte : 아스키코드 / 2byte : 유니코드 **

자료형 바이트 비트
char 2 16

④ 논리형 데이터 타입

논리형 데이터 타입에는 true와 false를 저장하는 자료형인 boolean이 있습니다. 즉, 0과 1로만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로 필요한 메모리는 1bit이지만 자바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최소 크기는 byte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1byte의 크기가 있습니다. 참고로 자바에서는 대소문자가 구별되기 때문에 true와 True는 다르게 취급하므로 True를 대입할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 


3. 형변환

형변환이란 말 그대로 변수나 상수의 데이터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형변환에는 자동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이 있습니다. 자동 형변환은 프로그램 작성자가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바가 알아서 알맞은 타입으로 변환해주는 형변환이고, 명시적 형변환은 프로그래머가 변수의 자료형을 강제로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4. 상수의 선언

상수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변경할 수 없는 고정된 값입니다. 상수는 프로그램 언어에 정해져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상수를 선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