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초롱언니 2025. 4. 4. 10:48

01. 개념

특정 작업이나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정의된 코드 블록으로 특정 기능을 구현한 것으로 '무언가'에 의해 호출되었을 때 실행된다. 따라서 여러 프포그램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을 하나의 함수로 정의하여 놓으면 매번 반복하여 코딩하지 않고 불러 사용하면 유용하다. 

 

02. 구조 

입력값 함수f(x) → 출력값

 

 

함수 정의 방법

 

1. 함수 선언문 방식

function 함수이름 (매개변수 1,2,3,...n) // 함수이름은 필수로 적어야함

{

    실행될 함수 문장

}

 

함수는 function 키워드와 함께 이름 뒤에 괄호가 오며 함수 이름은 변수명과 동일한 규칙을 가진다. 매개변수는 쉼표로 구분하여 포함한다. 함수에 의해 실행될 코드는 중괄호 ({}) 안에 위치한다. 정의한다고 바로 실행되지 않고 함수 호출을 해야 실행한다. 함수 선언은 실행문이 아니라서 중괄호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function myFunction(a, b) { // 매개변수 : 함수의 입력값을 받을 변수 
      return a * b;
    }
    document.write(myFunction(4,3) + "<br>"); // 인수 : 실제로 함수에 입력할 값
    document.write(myFunction(4,7) + "<br>");
    document.write(myFunction(6,2) + "<br>");
    document.write(myFunction(7,9) + "<br>");
    document.write(myFunction(9,2) + "<br>");
  </script>
</body>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