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프로그래밍 기초/입출력문
입력값의 형변환
별초롱언니
2025. 4. 8. 21:28
prompt()함수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받으면 문자열로 인식된다.
숫자의 산술 연산을 하려면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여 연산해야한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 문제) 가족들의 나이를 입력받아 평균값 출력
// count는 각 나이의 개수를 셀 때 사용한 변수
let count = 0;
// 나이 값을 저장할 변수들을 선언
let dad, mom, brother, me;
// prompt로 가족들 나이 입력받아야함
dad = prompt("아빠 나이를 입력하세요", "ex) 20");
count += 1;
mom = prompt("엄마 나이를 입력하세요", "ex) 20");
count += 1;
brother = prompt("오빠 나이를 입력하세요", "ex) 20");
count += 1;
me = prompt("내 나이를 입력하세요", "ex) 20");
count += 1;
// 나이를 숫자로 변환하고 평균값 계산
let totalAge = (parseInt(dad) + parseInt(mom) + parseInt(brother) + parseInt(me)) / 4;
// 나이를 Number로 변환하고 평균값 계산
// let totalAge = (Number(dad) + Number(mom) + Number(brother) + Number(me)) / 4;
// 평균값 출력
document.write("가족들의 평균 나이는 " + totalAge + "살 입니다.");
</script>
</body>
</html>
✿ 복습 ✿
let count = 0; 은 가족들 나이의 개수를 셀 때 사용함
let dad, mom, brother, me; 는 나이 값을 저장할 변수들을 선언
prompt()로 가족들 나이 입력받기
parseInt로 나이를 숫자로 변환하고 가족수만큼 나누기
결과는 document.write()로 확인!
★ 여기서 parseInt()와 Number()의 차이점 확인해보자 ★
parseInt() : 주로 정수로 변환할 때 사용 (문자열의 숫자 부분만 취급)
예를 들어, "20abc"는 20으로 변환
Number() : 문자열 전체를 숫자로 변환하고 변환할 수 없으면 NaN을 반환
예를 들어, "20abc"는 NaN으로 변환